개발하다보면 로컬/개발/운영의 환경설정 값들이 다른 경우있다.
대표적인 예가 DB 접속이다. 로컬/개발에서는 개발DB를 이용하고 운영서버에서는 운영DB를 이용한다.
초기 프로젝트 구축시에 이 부분에 대한 구조를 제대로 결정하지 않으면
소스배포시 많은 부분 수작업이 들어가게 되고, 잠깐 방심하는사이에 운영서버인데 개발서버의 환경설정을 적용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maven의 profile를 이용하면 된다.
앞에서 예제로 만들어봤던 SampleSessionLogin 프로젝트에 각기 다른 환경설정을 적용해보겠다.
(SampleSessionLogin 프로젝트는 단순히 세션을이용한 로그인을 공부하기 위해서 만든 예제인데 여기저기 자꾸 덧붙여서 쓰고 있다 -_-)
현재의 프로젝트 환경설정관련 파일들 모습이다.
심플하게 resources 디렉토리에 sql, log, db연결정보들 모두 다 들어있다.
이것들을 이제 분리해보자.

1. pom.xml 파일 수정
pom.xml 파일에 로컬(local), 개발(dev), 운영(release) 이 3개의 profile를 추가한다.
resources 부분도 추가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maven.apache.org/maven-v4_0_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groupId>com.mungchung</groupId>
<artifactId>sample</artifactId>
<name>SampleSessionLogin</name>
<packaging>war</packaging>
<version>1.0.0-BUILD-SNAPSHOT</version>
<properties>
<java-version>1.6</java-version>
<org.springframework-version>3.0.6.RELEASE</org.springframework-version>
<org.aspectj-version>1.6.9</org.aspectj-version>
<org.slf4j-version>1.5.10</org.slf4j-version>
</properties>
<dependencies>
... 생략
</dependencies>
<build>
... 생략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resources-plugin</artifactId>
<version>2.5</version>
<configuration>
<encoding>UTF-8</encoding>
</configuration>
</plugin>
</plugins>
<resources>
<resource>
<directory>src/main/resources</directory>
</resource>
<resource>
<directory>src/main/resources-${env}</directory>
</resource>
</resources>
</build>
<profiles>
<!-- Local server -->
<profile>
<id>local</id>
<activation>
<activeByDefault>true</activeByDefault>
</activation>
<properties>
<env>local</env>
</properties>
</profile>
<!-- Development server -->
<profile>
<id>dev</id>
<properties>
<env>dev</env>
</properties>
</profile>
<!-- real server -->
<profile>
<id>release</id>
<properties>
<env>release</env>
</properties>
</profile>
</profiles>
</project>
pom 파일 보면 profile의 값을 가지고 resource-{profile env} 의 디렉토리를 컴파일 해주는것을 알수 있다.
이제 로컬/개발/운영 환경설정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2. 배포대상별 환경 디렉토리 생성
src/main 디렉토리로 이동 한 후에 아래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src/main/resources-local
src/main/resources-dev
src/main/resources-release
그리고 DB 환경설정이 들어있는 src/main/resources/properties/jdbc.properties 정보를
각각 위에서 만든 디렉토리로 복사하고
src/main/resources/ 디렉토리에선 properties 디렉토리 삭제한다.
이렇게하는 이유는 위의 pom파일 잘 살펴보면 알겠지만
src/main/resources의 공통적인 환경파일들은 그대로 컴파일해서 이용하고
배포대상별로 다르게 가져가야할 환경 파일은 각각 디렉토리에 넣기 위함이다.
아래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로 만들면 된다.

각 properties 디렉토리의 jdbc 연결 부분은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
1) src/main/resources-local/properties
# MySql
jdbc.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jdbc.url=jdbc:mysql://localhost:3306/test
jdbc.username=root
jdbc.password=11111
2) src/main/resources-dev/properties
# MySql
jdbc.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jdbc.url=jdbc:mysql://dev.mungchung.com:3306/test
jdbc.username=root
jdbc.password=1234
3) src/main/resources-release/properties
# MySql
jdbc.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jdbc.url=jdbc:mysql://real.mungchung.com:3306/test
jdbc.username=root
jdbc.password=2234
3. 프로젝트 소스의 빌드 path 수정
기존 src/main/resources/properties 디렉토리를 다른 디렉토리로 옮겼기 때문에
이 상태로 프로젝트이용하면 properties 파일들이 컴파일되지 않아서 오류난다.
그래서 빌드 path에 src/main/resources-local 을 넣어줘야한다.
1) 프로젝트 선택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서 Properties를 선택한다.
2) Java Build Path 항목으로 이동후에 Source 탭을 클릭하고선 Add Folder 누른다.

3) src/main/resources-local 디렉토리를 선택한다.

4) 순서 변경해준다. resources 아래에 resources-local에 위치하도록 한다.

5) 설정 완료된 모습은 아래와 같다.

이렇게 설정했으면 이제 로컬 개발시에 환경설정 부분은 끝났다.
헌데, 혹시 만약 이렇게 설정해놓고선 서버 시작했을때 오류가 발생하거나 잘 안된다면 아래 방법들을 사용해본다.
(아래 방법들은 순서대로하는것이 아니라 이것저것 섞어서 해보면 되는 경우가 있다 -_-;; )
- 이클립스의 [Project] - [Clean..]
- 톰캣서버에서 SampleSessionLogin 웹모듈 삭제/추가 다시 해봄
- 톰캣서버에서 웹모듈을 Clean 또는 Publish 해봄
- SampleSessionLogin/target 디렉토리 및의 모든 파일 다 지워본다.
- 톰캣서버에 Publishing 된 임시 파일들 지워본다. 이 위치는 사용자마다 다른데 내 경우는 아래였다.
\workspace\.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1\wtpwebapps\SampleSessionLogin
SampleSessionLogin 디렉토리 지워보면 된다.
4. 운영 또는 개발에 배포하기
운영/개발에 배포할때는 maven 명령어를 통해서 배포하면된다.
운영(release)에 배포할때 예를 들자면
pom.xml이 있는 디렉토리 아래에서 도스창(리눅스 서버면 터미널)으로 이동후에 아래 명령어 친다.
mvn install -P release
만일 war로 배포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mvn package -P release
이렇게 한 후에 target/classes/properties 디렉토리에서 jdbc.properties 파일 열어보면
운영으로 설정한 jdbc.url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혹시 잘 안된다면 mvn clean을 해준후 위 명령어 다시 해본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